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아는 기자, 정치부 우현기 기자 나왔습니다. 우 기자, 서울 경기 민심, 원래 이렇게 다른가요? <br><br>서울과 경기 민심이 원래부터 달랐던 건 아니었습니다. <br> <br>제가 찾아보니까, 지난 2017년 대선을 보면 당시 문재인 민주당 후보가 서울, 경기, 인천에서 모두 앞선 득표를 했고요. <br> <br>지난 2020년 총선에서도 이 3곳 모두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뒀는데요.<br> <br>그런데, 지난 대선 때 양상이 바뀌었습니다. <br> <br>당시 서울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더 많은 득표를 했고요.<br><br>인천과 경기에서는 이재명 당시 민주당 후보가 앞섰습니다.<br> <br>Q. 그러니까요. 과거에는 보통 수도권으로 함께 묶였는데, 요즘은 표심이 달라요. 차이가 나게 된 이유는 뭐에요? <br><br>여론조사 전문가와 서울, 경기 정치인들 이야기를 종합하면 공통적으로 꼽는 건, 바로 인구 변화 입니다. <br> <br>최근 몇년 사이 경기 지역에 4050세대가 늘었다, 표밭이 달라졌다는 겁니다. <br> <br>4050, 통상적으로 전통적인 민주당 지지층으로 알려져 있죠. <br><br>지난 총선과 대선 때 인구 변동을 분석해보니까요, 서울은 4050 숫자가 11만 명 가까이 줄었는데, 경기도는 7만 5천 명이 늘었더라고요.<br> <br>Q. 그 이유는 뭐에요? <br><br>다들 집값을 이야기합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 시절 부동산 가격이 급격히 오르면서 서울에서 경기 지역으로 4050세대가 많이 빠져나갔다는 거죠. <br> <br>한 민주당 의원은 "몇년 전부터 경기 세가 좋아졌"며 "부동산 급상승으로 신도시에 이주한 게 원인"이라고 말하더라고요.<br> <br>반면 서울 지역의 한 민주당 의원은 지지층이 빠져나가 선거가 더 어려워졌다고 울상이었습니다. <br> <br>Q. 그 이유가 다 인가요? 지난 대선때부터라면 아무래도 이재명 전 경기지사 영향으로도 보이네요. <br><br>맞습니다. 이재명 대표를 바라보는 민심 온도차가 서울과 경기에서 뚜렷합니다. <br> <br>오늘 발표된 한 여론조사를 보면요. <br> <br>장래 대통령감으로 누가 더 좋냐고 물었더니, 이 대표를 꼽은 응답자, 인천경기가 서울보다 10%P 높았거든요. <br> <br>한동훈 위원장은 서울, 경기 비슷했습니다.<br> <br>이 대표가 경기도지사를 지냈고, 인천 계양을에 지역구를 둔 만큼 인천 경기가 아무래도 유리다는 겁니다. <br> <br>Q. 서울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낮게 나온건, 민주당은 왜 그렇다고 봐요? <br><br>최근 친명 비명 공천 갈등으로 인한 민주당에 대한 실망감, 반감이 서울이 더 크다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서울을 보면 비명계 김영주 의원은 하위 20% 평가에 반발하며 탈당했고, 전혜숙, 노웅래, 강병원 등 비명계들이 주로 공천장을 받지 못했습니다.<br> <br>서울 지역 한 민주당 의원은 "당내 분열을 보면서 민주당 리더십에 문제를 많이 느끼더라"며 "서울이 이 대표에 대한 비호감도가 높은 것도 문제"라고 꼬집었습니다.<br> <br>Q. 그럼 국민의힘은 경기에, 민주당은 서울에 더 공을 들여야 겠네요. <br><br>맞습니다. 이미 여야가 그렇게 움직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대통령은 어제 인천을 방문해서 GTX 등 지역 숙원사업 지원 정책을 내놨고요. <br> <br>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어제 오늘 경기 지역 돌고 있죠.<br><br>반면 이재명 대표는 이번주 서울 종로, 영등포, 양천을 돌고 있고요. <br><br>공천갈등에 실망한 서울 민심을 돌려보려는 듯. 친노 곽상언 후보, 친문 황희 후보를 먼저 찾았습니다.<br> 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우현기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ichannela.com